투자자에게 필요한 것
- 워렌 버핏의 주식 선별 방법은 사람들이 들으면 놀랄 정도로 아주 간단함
- 주식 종목 선별과 매매는 전문적이고 어려운 내용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, 어렵게 생각할수록 어려워지는 게 투자임
- 물론 기본 경제와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은 필요한데, 이는 대학생들이 듣는 학교 수업보다도 쉬운 난이도임
금융 IQ
- 워렌버핏은 높은 아이큐보다 기질이 중요하다고 말함, 이를 금융 IQ라고 언급했음
- 객관적으로 볼 수있는 기질, 다수의 의견에 휩쓸리지 않는 기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했는데, 레밍이 되면 안된다고 비유함
- 사람들은 난해한 것, 영화 같은 기술을 가진 기업에 매력을 느끼고 포장된 스토리에 매료되는데, 사실상 우리 모두가 그럼
- 그게 영화나 애니메이션이 잘 팔리는 이유임
- 다른 사람들과는 반대쪽 편에 서서, 진짜와 가짜를 정확히 구별해낼 줄 알아야 함
- 구별할 수 없거나 애매하다면, 해당 기업이나 산업에 투자를 안 하면 되는 것이고, 확신이 없는데 투자하면 그건 도박임
- 정말 꿈같은 기술 주식을 사서 돈을 벌 수 있다면, 소문과 뉴스를 통해 해당 주식을 산 모든 사람들이 부자가 될 거고,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두가 돈을 번다면 경제는 망가지게 돼있음
- 소문난 잔치에는 먹을 게 없다는 말을 꼭 기억해야 하고, 소문과 뉴스가 아닌 객관적인 평가를 해서 나에게 알맞은 주식을 사야 함
-> 피터 린치는 자기가 소유한 기업을 5살짜리 꼬마 아이에게 간단하게 설명해줄 수 없다면, 그 주식을 사면 안 된다고 했음
- 기질은 타고나는 부분도 있지만 독서와 공부를 통해 충분히 습득 가능하다며, 워렌 본인도 19살에 벤저민 그레이엄의 책을 통해 그 기질을 체득했다고 함
- 그리고 워렌이 강조한 것이, 오만이 아주 위험하다고 했음
-> 아이큐가 180이면서 200인 거처럼 자만하는 사람과, 아이큐가 110이면서 90인 거처럼 겸손한 사람이 있다면, 후자가 더 투자에 적합하다고 함
- 그럼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
- 전반적인 경제 공부
- 기본적인 재무제표 공부
- 기업이나 산업 자체에 대한 공부
- 매매 공부
- 네 개 정도밖에 없음
- 나는 1년이면 전부 습득하기 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함, 1년 공부해서 평생 돈을 벌 수 있고 노후 준비까지 가능하다는데, 무조건 모두가 해야 한다고 생각함
- 언젠가 자본을 늘리고 수익률을 높이다 보면 복리 효과를 통해 주식투자로 버는 돈은 아주 커질 거임
-> 올바른 투자를 하다 보면 나의 연봉보다 투자 수익이 무조건적으로 높아질 것임
- 이보다 효율 좋고 매력 있는 돈벌이가 없음
투자자의 목표
-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투자금을 5년에 약 2배로 만드는 것이 통념적인 목표임, 물론 쉽지는 않음
- 연 15% 정도의 수익률을 내면 5년에 2배임
- 미국 대표 지수인 S&P 500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11프로 정도임
-> 개별 종목은 보통 지수보다 2~3배 크게 움직이기 때문에 종목을 잘 선별했다면, 5년에 2배가 터무니없는 수치는 아님
- 근데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는 1년에 15% 수익율 보장은 오만이라고 했음, 다만 워렌 버핏은 135조의 주식을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수익이 매우 어렵긴 함
- 워런 버핏은 대기업 투자를 선호하고, 대기업 수준의 기업을 자신에게 매각하고 싶다면 바로 전화를 하라며 전화번호를 주주 서한에다가 남겼음
-> 돈이 너무 많기 때문에 소형주들에 투자하려면 수십, 수백 개의 회사를 검토해야 함
- 적은 돈으로 투자하는 우리는 충분히 가능한 목표치라고 생각하고 함
-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복리효과를 위해서 기간이 절대적으로 중요함, 학생일 때 시작하는 게 제일 좋은 거 같음
-> 앞으로 30년을 투자하면 이론상 2에 6승으로 원금의 64배가 목표인 거임 ㅎ ㄷ ㄷ
- 노력 없이는 당연히 힘들 거고 주식은 불로소득이 아님, 그래도 한번 해놓으면 평생 감 ㅠ
- 워런 버핏은 하루에 8시간씩 신문이든 전문서적이든 되는대로 다 읽으면서 지식을 습득하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보다 아는 지식은 훨씬 많음 ㅎ ㄷ ㄷ
-> 아는 지식이 많다는 건 많은 분야의 산업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식 투자를 할 때 선택의 폭이 넓어짐
- 선택의 폭이 많아진다고 압도적으로 유리한 것은 아니고, 아주 간단한 산업, 상식선에서 판단 가능한 산업, 아니면 본인이 잘 이해하는 산업에만 투자하면 됨
-> 금액적으로 유리한 우리가 충분히 상쇄 가능한 부분임
2022.10.06 - [투자/개념] - 워렌버핏 주식 고르는법 - 4가지 기본 틀
워렌버핏 주식 고르는법 - 4가지 기본 틀
워렌 버핏의 주식 선별 - 4가지 틀 막상 읽어보면 이건 당연한 거 아닌가, 다들 그렇게 하고 있지 않나라고 생각이 들 수 있음 -> 근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4가지 조건을 다 만족하는 주식은 그리
catvetty.tistory.com
- 레버리지 투자, 대출 투자, 급등주, 테마주 하지말고 정석대로 해보자
'투자 >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, 은 사야 할 때 - 인플레이션과 경제위기 투자 - 대처법 (11) | 2022.10.07 |
---|---|
워렌버핏 주식 고르는법 - 4가지 기본 틀 (4) | 2022.10.06 |
워렌버핏의 추천 책, 주린이의 책 (8) | 2022.10.04 |
ROE란 - 자기 자본 이익률 - 응용과 함정 (0) | 2022.10.02 |
주식 시장의 바닥 - 공포 탐욕 지수와 Rsi (0) | 2022.10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