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 글인 경제위기 - 대처법과 이어지는 내용
- 경제위기에 대비하여 채권을 사야하는 이유와 시기를 적어놓은 전 글에 이어, 경제위기에 대처 하는 두번째 단계 글임
경제위기 오나? 경기 침체는 온다 - 대처법 (tistory.com)
경제위기 오나? 경기 침체는 온다 - 대처법
경기침체는 옴 - 일단 경기 침체는 옴, 미국이 그렇게 하기로 마음을 굳힘 - 전쟁으로 인한 구조적인 인플레이션에, 코로나로 돈을 말도 안되게 많이 풀었으니 물가는 쉽게 안잡힐거임 - 전쟁 끝
catvetty.tistory.com
금, 은 언제 사야할까
- 금과 은은 두 가지 경우에 사야함, 인플레이션과 경제위기
- 워렌 버핏은 금과 은을 싫어하기로 유명한데, 특히나 금은 아무런 생산성이 없고 그냥 예쁜 금속이기 때문임
- 은을 좀 더 선호함
- 그렇다고 해서 워렌 버핏이 금이나 은을 절대 안사는건 아니고, 직접 판단 해봤을 때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낮으면 투자를 한 경우들이 있음
- 금과 은은 달러와 반대로 움직임
- 금과 은은 인플레이션과 함께 움직임
- 금과 은은 조금씩 우상향함
금과 은의 차이
- 금과 은은 같이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데, 차이는 확실히 알아야함
- 금과 은의 가격 차이를 비교한걸, 금 은 비율이라고 함
- 금이 은보다 몇배나 비싼지를 나타냄
- 금이 은보다 몇 십배나 비싼 이유는 수요와 공급, 그리고 매장량 차이에 있음
- 사람들이 은보다는 금을 더 귀하게 여기고, 전 세계 은 매장량은 약 60만톤인데 금은 8만톤 정도뿐임
- 차트에서 높은 부분은 금이 은보다 거의 100배나 비싸진 것이고, 평소에는 약 70~80배 사이의 수준임
- 금이 은의 100배였던 차트 고점은 코로나가 터져서 모든 주식이 폭락 하던 시기임
- 이 차트를 보고 위기가 왔을 때 금의 가격만 올랐다고 생각 할 수 있는데
- 둘다 떨어졌고 은이 더 많이 떨어졌던거임
-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금이 더 안전한 자산이어서도 맞지만, 은이 경기에 민감하고 금보다 변동폭이 크기 때문임
- 차트를 확대해놔서 금이 더 크게 움직인것 같지만, 실제로 금은 15%정도밖에 움직이지 않았고 은은 50% 이상 움직임
- 은이 오를 때는 금보다 더 많이 오르고, 떨어질 때는 금보다 더 많이 떨어짐
- 은이 경기에 민감한 이유는 은이 여러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금속이기 때문임
- 은이 보석으로 쓰이는건 전체의 30% 정도이고, 70%는 산업에 쓰임
- 은은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이기 때문에 여러 산업, 태양광 패널, 자율주행차 등에도 쓰이고 약에도 들어감
- 따라서 투자시에 취향에 따라 높은 변동성과 수익을 원한다면 은, 안전성을 원한다면 금을 선택하면 되겠음
- 은 - iShares Silver Trust ETF (SLV), 금 - iShares Gold Trust ETF (IAU)
- 더욱 높은 변동성을 원한다면 은이나 금 채광기업 etf를 사면 되는데, 원자재 그 자체보다 채광기업을 사면 레버리지 효과가 생김
- 은 채광 ETF는 - Global Silver X miners ETF (SIL), 금 채광 ETF는 - VanEck Vectors Gold Miners ETF (GDX)
- 더더 높은 변동성을 원하는 야수의 심장이라면, 금 은 ETF를 세배로 추정하는 레버리지 상품을 사면 되겠음 ㅋㅋ
- 은 3배 레버리지 - WisdomTree silver 3x daily leveraged (3LSI), WisdomTree Gold 3x dailey leveraged (3LGO)
웬만하면 레버리지 하지말자 나라면 안함 ㅎ ㄷ ㄷ
- 은 3배 레버리지 - WisdomTree silver 3x daily leveraged (3LSI), WisdomTree Gold 3x dailey leveraged (3LGO)
- 이제 언제 사야하는지 알아보자
1. 경제 위기의 직후
- 경제 위기가 왔다는건 제로금리로 낮춰야 한다는 말임
- 약간의 인플레이션 발생
- 경제 위기가 온 후에는 각 국가에서 경제를 부양시키기 위해 양적완화와 부양책을 내서 돈을 시장에 풀음
- 심각한 인플레이션 발생
- 제로금리에 부양책으로 돈이 풀리면 화폐의 가치는 떨어짐
- 달러와 반대로 움직이는 금과 은은 가치가 올라가게 됨
- 이전 글 경제위기 오나? 경기 침체는 온다 - 대처법 (tistory.com)을 읽고 왔다면, 이 때 폭등한 채권을 가지고 있을거임
- 이 때 수익을 본 채권은 경제 위기가 더 심화되지 않는 이상, 인플레이션 시기에 쓸모가 없어졌으니 매도함
- 경제 위기가 심화되면 채권 가격은 더 오를거임, 상황 잘 보고 판단해서 팔자
- 위기가 왔으니 모든 주식은 폭락 해 있을테지만, 경제위기 후에 주식이 회복하는 속도는 더딜 수 있음
- 곧바로 오는 인플레이션에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은 금과 은, 원자재임
- 여기서 핵심은 경제위기 충격에 오른 채권을 고점에 팔고, 그 돈으로 각종 부양책과 인플레이션 촉발 요인이 나오기 전에 미리 금과 은을 사는거임
- 딱 맞추기 어려울테니 적절하게만 해보자
- 채권을 매도한 돈 말고, 이미 가지고 있던 주식을 팔아서 금과 은을 사는거는 추천하지 않음
- 위기가 왔으면 주식이 폭락해 있을텐데 그 손해를 확정짓고 금과 은을 사는건 리스크가 너무 큼
- 주식 시장에서 변수는 언제나 있기 마련이고, 예측 한대로 흘러간다는 보장은 없으니 무리한 투자는 하지말자
- 저렇게 먼저 오른 금과 은을 주관대로 매도하고 경제 상태를 본 뒤, 천천히 살아나는 주식이나 다른 원자재를 매수하면 됨
- 폭등한 달러로 한국 금, 은 채광 기업을 사는 방법도 있긴 함
- 대표적으로 고려아연이 있는데, 다른거는 안찾아봐서 잘 모르겠음
- 폭등한 채권의 수익 + 달러 환율 수익으로 환전해서 고려아연을 사고, 금은 수익까지 볼 수 있으면 최상의 시나리오 겠지만, 고려아연은 금과 은 생산량이 적고 다른 금속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, 부양책을 통해 경기가 성공적으로 활성화 되어야만 잘 올라감
- 금과 은 가격에 따라서 오르긴 하겠지만 위에 언급된 미국의 금, 은 상품보다는 덜 움직임
- 인플레이션이 금과 은에서 멈추지 않고 경기와 관련된 다른 원자재 (원유, 철강, 목재)로 확장되어야 함
2. 경제 위기가 오지 않고 경제가 다시 회복하며 생기는 건강한 인플레이션
- 이 경우는 경제위기가 오지 않은채로 위태로운 시기가 끝난 후, 경기가 활성화되고 경제가 완만하게 살아날 때임
- 갑자기 내일부터 악재가 사라지고, 경제가 살아나서 건강한 인플레이션이 오면 당장 오늘이 저점일 수도 있음
- 주식을 살 때 저점 매수를 해야 하는 것처럼, 금과 은도 경기활성의 가시권 전에 미리 들어가는 것이 중요함
- 다만, 금과 은은 너무 천천히 우상향 하기 때문에 경제 시기를 잘 봐야함
- 건강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, 인프라 관련 여러 산업들이 활성화가 된다면 은과 금은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면서 우상향함
- 이런 시기는 싸이클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음에 다른 글에 적겠음
- 이런 경제 조건이 아니라면 사실상 금과 은은, 주식보다 수익률이 훨씬 낮을거임 (금 은, 채권 <<< 주식)
- 수익률이 채권보다 낮을지도 모른다
- 따라서 이 경우는 조건부인데다가, 주식은 성장성과 확장성이 존재하는 반면에 금과 은은 아니기 때문에 나라면 주식을 살거임
- 변수는 항상 존재하니까, 이 시나리오에 고정되지 말고 유동적으로 투자해야함
-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있음
- 경제위기 시나리오의 대처법들은 다른 주식에 대한 헷지일뿐이고 일시적인 수익이기 때문에, 이런 편법보다는 주식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 하긴함
- 정석대로 기본기 잘 다져서 주식에 집중하자
워렌버핏 주식 고르는법 - 4가지 기본 틀 (tistory.com)
워렌버핏 주식 고르는법 - 4가지 기본 틀
- 워렌 버핏의 주식 선별 방법은 매우 단순하므로 투자자의 마음 가짐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음 -> 주식을 고르는 방법은 그냥 지식을 습득하면 되지만 기질을 체득하는 것은 반복과 체화가 중
catvetty.tistory.com
워렌버핏 - 투자자의 필수 기질 (tistory.com)
워렌버핏 - 투자자의 필수 기질
- 워렌 버핏의 주식 선별 방법은 사람들이 들으면 놀랄 정도로 아주 간단함, 선별 방법은 나중에 적겠음 - 주식 종목 선별과 매매는 전문적이고 어려운 내용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, 어
catvetty.tistory.com
PER이란 - 주가 수익 비율 - 응용과 함정 (tistory.com)
PER이란 - 주가 수익 비율 - 응용과 함정
1. PER: 투자의 가장 기본임: 설명을 위한 예시 - 천원짜리 로봇을 샀음 - 로봇이 일을 해서 1년에 백원씩 벌어옴 - 그럼 PER이 10임 -> 천원 나누기 백원 = 10 - 로봇을 사는데 들인 돈을 회수하려면 10
catvetty.tistory.com
ROE란 - 자기 자본 이익률 - 응용과 함정 (tistory.com)
ROE란 - 자기 자본 이익률 - 응용과 함정
- ROE (Return on Equity) : 자기 자본 이익률 = 당기순이익 / 자기자본 x 100% - 너무 짧고 간단한 개념이라 별로 안중요할거 같은데, 투자의 근본이자 정수임; 목 마를 때 정수기만큼 중요 - 기업은 부채 +
catvetty.tistory.com
*투자는 모두 본인의 판단과 책임입니다
'투자 >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PS(주당순이익)이란, Non-GAAP와 GAAP (3) | 2025.01.19 |
---|---|
기준금리와 고배당주들의 관계(LA 화재,, 처브,,) (1) | 2025.01.14 |
워렌버핏 주식 고르는법 - 4가지 기본 틀 (4) | 2022.10.06 |
워렌버핏 - 투자자의 필수 기질 (0) | 2022.10.06 |
워렌버핏의 추천 책, 주린이의 책 (8) | 2022.10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