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PS (Earnings Per Share): 주당 순이익
- EPS는 회사가 주식 1주당 벌어들인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로, 투자자들이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됨.
- GAAP EPS와 Non-GAAP EPS는 회계 기준과 조정 여부에 따라 달라짐.
- 대체로 Non-GAAP EPS 사용 시 PER이 낮아져, 회사가 더 저평가된 것처럼 보일 수 있음.
GAAP EPS (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)
- 미국 회계 기준에 따라 작성된 EPS.
- 감가상각, 법률 비용, 구조조정 비용 등 모든 비용과 수익을 포함하여 계산.
- 가장 보수적이고 객관적인 수치를 제공함.
- 장점
- 모든 비용을 반영하므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높음.
- 투자자들이 회사의 전체적인 재무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 유용함.
- 단점
- 일회성 비용이나 비현금 항목도 포함되므로, 회사의 실질적인 영업 성과를 왜곡할 수 있음.
- 예시
- Berkshire Hathaway (BRK.A): 투자, 보험 등 복잡한 사업 구조로 인해 GAAP EPS가 적합. 모든 비용을 정확히 반영하므로 안정적인 투자 판단 가능(다만 워렌버핏은 더 명확한 실적 발표를 위해 독립적인 회계방식 사용)
- 네이버증권 미국주식 재무제표는 GAAP EPS를 사용함.
Non-GAAP EPS
- Non-GAAP EPS에서 제외되는 일반적인 항목들
- 비현금 항목
- 감가상각 및 무형자산 상각(예: 특허, 브랜드 가치 등)
- 주식 보상 비용(Stock-based compensation)
- 일회성 비용
- 구조조정 비용(Restructuring charges)
- 인수합병(M&A) 관련 비용
- 법률 소송 및 합의금(Legal settlements)
- 특별 항목
- 비경상적 수익 또는 손실(예: 자연재해 손실, 대규모 불황으로 인한 충당금 설정 등)
- 세금 관련 일회성 조정
- 비핵심적인 수익 또는 비용
- 외환 차익 또는 손실(Foreign exchange gains/losses)
- 자산 매각 이익 또는 손실(Asset sale gains/losses)
- 비현금 항목
- 일회성 비용, 주식보상(스톡옵션), 대규모 리콜 비용, 감가상각 등 특정 항목을 제외함.
- 탄소배출권 수익 등의 특수한 경우를 포함 시킴.
- 경영진이 강조하고 싶은 핵심 영업 성과를 부각시키는 데 주로 사용됨.
- 장점
- 일회성 비용을 제거해 핵심 영업 성과를 더 잘 보여줌.
-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유리함.
- 단점
- 경영진이 조정을 통해 실적을 의도적으로 부풀릴 가능성이 있음(실적마사지).
- 회사 간 비교가 어려움.
- 예시
- Tesla (TSLA): R&D와 비현금 항목(예: 주식 보상)이 크기 때문에 Non-GAAP EPS를 통해 실질적인 영업 성과를 파악하는 것이 더 유리함.
- Investing.com(인베스팅닷컴)은 Non-GAAP EPS를 실적 발표에 사용함.
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PER(주가수익비율)
- 두배는 차이나는 모습
- GAAP EPS
- Non-GAAP EPS
결론
GAAP EPS | Non-GAAP EPS | |
정의 | 모든 비용 반영 | 특정 항목 제외 |
장점 | 객관적, 투명한 재무 상태 제공 | 핵심 영업 성과를 잘 반영 |
단점 | 일회성 비용으로 왜곡 가능 | 경영진의 주관적 조정 위험 |
사용 사례 | 안정적, 복잡한 기업 | 고성장, 기술 기반 기업 |
예시 | Berkshire Hathaway | Tesla |
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.
'투자 >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배당주 투자 시 체크할 것(유동부채에 대한 오해) (0) | 2025.02.02 |
---|---|
기준금리와 고배당주들의 관계(LA 화재,, 처브,,) (1) | 2025.01.14 |
금, 은 사야 할 때 - 인플레이션과 경제위기 투자 - 대처법 (11) | 2022.10.07 |
워렌버핏 주식 고르는법 - 4가지 기본 틀 (4) | 2022.10.06 |
워렌버핏 - 투자자의 필수 기질 (0) | 2022.10.06 |